상수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switch 조건문 switch((비교할 변수)) { case (값1)://(비교할 변수)와 (값1)이 같은 경우 (명령) break;//switch문을 빠져 나옵니다. case (값2)://(비교할 변수)와 (값2)이 같은 경우 (명령) break; … default://어느 값과도 같지 않은 경우(생략 가능) (명령) break; } 여기서 break 문을 쓰지 않으면 case 문에서 값이 비교할 변수와 같아 명령을 실행 후 switch 문을 빠져나가지 않고 불필요하게 밑의 case 값과 비교를 하므로(실행 속도 낭비) break 문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. 다만 switch 문의 이런 특성을 살려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. switch((비교할 변수)) { case (값1): case (값2): …//값1 또는 값.. 상수, const 상수란 사전적 의미는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합니다. const int i = 0;//상수 변수 정의 i = 3;//상수 변수라 값 변경이 불가능 int j = 0;//일반 변수 정의 const int e = j;//const 변수를 정의해서 일반 변수인 j를 대입 일단 변수 옆에 const를 붙이면 그 변수는 값 변경이 불가능합니다. 그래서 const를 붙인 변수가 상수 변수이지만, 그 변수가 항상 컴파일 할때마다 변하지 않는 값(실행마다 변하지 않는)은 아닙니다. const 변수를 정의할 때 초기값을 일반 변수를 넣어버리면.. 위의 예제는 그래도 j값이 0인 것을 알 수 있지만 만약 j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이면 j가 무슨 값인지 컴파일중에는 알 수 없기 때문에 e도 역시 알 수 없는 값이 됩니다... 이전 1 다음